문제
KOI 전자에서는 건강에 좋고 맛있는 훈제오리구이 요리를 간편하게 만드는 인공지능 오븐을 개발하려고 한다. 인공지능 오븐을 사용하는 방법은 적당한 양의 오리 훈제 재료를 인공지능 오븐에 넣으면 된다. 그러면 인공지능 오븐은 오븐구이가 끝나는 시간을 분 단위로 자동적으로 계산한다.
또한, KOI 전자의 인공지능 오븐 앞면에는 사용자에게 훈제오리구이 요리가 끝나는 시각을 알려 주는 디지털 시계가 있다.
훈제오리구이를 시작하는 시각과 오븐구이를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분단위로 주어졌을 때, 오븐구이가 끝나는 시각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현재 시각이 나온다. 현재 시각은 시 A (0 ≤ A ≤ 23) 와 분 B (0 ≤ B ≤ 59)가 정수로 빈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는 요리하는 데 필요한 시간 C (0 ≤ C ≤ 1,000)가 분 단위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종료되는 시각의 시와 분을 공백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단, 시는 0부터 23까지의 정수, 분은 0부터 59까지의 정수이다. 디지털 시계는 23시 59분에서 1분이 지나면 0시 0분이 된다.)

두가지 방법으로 문제를 풀어보자.
각각의 문제 풀이법은 코드의 주석으로만 남겨놓겠다.
1. while문과 if문을 활용한 방법
'''
예제 입력 형식에 맞추어 input() 함수를 사용해준다.
당연히 출력값은 required_time 와 M 을 더해준 값이 나와 주어야 하며,
만약 M은 '분'인데 60보다 넘으면 0부터 더해 주어야 하며, 그때마다 H '시'가 1씩 증가해 주어야 한다.
'''
H, M = map(int, input().split())
required_time = int(input())
M += required_time
'''
while문을 사용한 이유는 만약 입력값이 120분이 넘어간다면?
H 에 2를 더해주어야 하고 60도 0부터 다시 시작되어야 하는데, 다시 코드가 반복되지 않는다면
단순히 59보다 크고 23보다 숫자가 크니 H에는 1만 더해지고 M은 한번만 60을 빼주게 될 것이다.
따라서 while문을 사용했다.
'''
while M > 59:
if M > 59:
M -= 60
H += 1
if H > 23:
H -= 24
print(H, M)
2. 나머지와 몫을 활용한 방법
여기에서는 // 와 % 의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하진 않는다.
아직 익숙하지 않다면 어려운 내용은 아니니 그 점은 검색해보면 쉽게 문제를 풀 수 있을 것이다.
'''
위의 코드와 비슷하지만 // 와 % 를 사용했다는 점이 다르다.
이걸 사용해 while문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었다.
// 는 나눈 값의 몫을 구해준다.(60의 몫)
% 는 나눈 값의 나머지를 구해준다.(60의 나머지)
'''
H, M = map(int, input().split())
required_time = int(input())
'''
//을 사용하면 만약 입력값의 '분'이 120 이더라도,
그 값을 더한 값인 2를 바로 H 변수에 넣어줄 수 있게된다.
그렇기 때문에 while문을 사용하지 않는것이다.
'''
H += required_time // 60
M += required_time % 60
if M > 59:
M -= 60
H += 1
if H > 23:
H -= 24
print(H, 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