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인스타그램 클론 코딩이 최종적으로 마무리 되었던 날!!
많이 어려웠지만 그만큼 배운것도 많았던 날이었다
인스타 클론코딩
내가 구현한것
- 인스타그램 로그인 페이지 구현
- 인스타그램 회원가입 페이지 구현
- 토큰 생성
- 메인페이지 우측 아이콘 몽고디비에서 닉네임 아이디 가져와 페이지에 보여준다
클론 코딩을 하며 어려웠던점
클론 코딩을 하면서 어려웠던점은 자바스크립트가 부족해서 코드를 작성해 나가는데 어려움을 느꼈다
극복
튜터님과 팀원들의 도움으로 코드들을 이해할 수 있었고
구글링과 유튜브로 자바스크립트 강좌 기초등을 찾아 보면서 천천히 코드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 프로젝트는?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강의를 빨리 들으려 해서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간 부분들이 많았고
그것 때문에 팀플을 하는데 많이 어려움을 느꼈던것 같다
다음 프로젝트는 강의를 빨리들으려 하기보다 천천히 듣더라도 완전히 이해하는것에 집중하자
이번 프로젝트에서 받았던 피드백
매니저님의 피드백
- 노션을 잘 사용해서 해야할 일과 한 일을 잘 구별해 놓았다
- 충실한 필수 기능 구현을 했다
튜터님 피드백
- 피드 수정 기능
- 피드에 위치 추가 넣은 디테일
- 추천 회원 랜덤으로 보여주는 기능
- 팔로워-팔로잉의 충실한 기능 구현
- 인스타그램 클론이라는 주제에 충실한 구현
- 깔끔한 레이아웃
- 신경 많이 쓴게 느껴지는 프론트
- 반응형 웹
- 각 팀원들의 기능별 자세한 역할 설명
다음 프로젝트부터 할것들
Keep
- Git merge 할 때 화면 공유 하고 다같이 보면서 하는 것
- 식사 30분 전에 함께 진행상황 공유하는 것
- figma, 구글 시트 등으로 자료 정리하고 문서 작성한 것
- Problem
- merge의 단위가 너무 컸던 것
- 하나의 파일을 수정할 때 순서를 정하지 않고 임의로 작성한 것
- 코드 컨벤션 잘 지켜지지 않은 것
- 깃허브 기능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한 것
- 테스트 데이터 베이스를 따로 생성하지 않은 것
Try
- 하루 일과가 끝날 때마다 merge를 수행한다.
- 그라운드 룰을 자세하게 정해둔다.
-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깃허브의 기능들에 대해 더 알아보고 사용해본다.
- 원본 데이터 베이스와 프로젝트를 테스트 할 때 쓸 데이터 베이스를 분리한다.
2022.05.11 - [분류 전체보기] - 인스타 클론 코딩 시연 영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