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상근이는 매일 아침 알람을 듣고 일어난다. 알람을 듣고 바로 일어나면 다행이겠지만, 항상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 때문에 매일 학교를 지각하고 있다.
상근이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보았지만,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은 그 어떤 것도 없앨 수가 없었다.
이런 상근이를 불쌍하게 보던, 창영이는 자신이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해 주었다.
바로 "45분 일찍 알람 설정하기"이다.
이 방법은 단순하다. 원래 설정되어 있는 알람을 45분 앞서는 시간으로 바꾸는 것이다. 어차피 알람 소리를 들으면, 알람을 끄고 조금 더 잘 것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매일 아침 더 잤다는 기분을 느낄 수 있고, 학교도 지각하지 않게 된다.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알람 시각이 주어졌을 때,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한다면, 이를 언제로 고쳐야 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두 정수 H와 M이 주어진다. (0 ≤ H ≤ 23, 0 ≤ M ≤ 59) 그리고 이것은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놓은 알람 시간 H시 M분을 의미한다.
입력 시간은 24시간 표현을 사용한다. 24시간 표현에서 하루의 시작은 0:0(자정)이고, 끝은 23:59(다음날 자정 1분 전)이다. 시간을 나타낼 때, 불필요한 0은 사용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할 때, 설정해야 하는 알람 시간을 출력한다. (입력과 같은 형태로 출력하면 된다.)

문제풀이
# 완성 코드
H, M = map(int, input().split())
M -= 45
if M < 0:
H -= 1
M += 60
if H < 0:
H += 24
print(H, M)
위에 완성코드를 두었고 어떻게 풀이했는지는 하나씩 알아보자.
처음변수 H와 M 을 하나씩 input() 함수를 쓰지 않고 map()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예제 입력이
10
10 형태가 아니라
10 10 형태이기 때문이다.
H, M = map(int, input().split()) # O
# H = int(input()) X
# M = int(input()) X
처음에는 간단하게 M 에서 45를 마이너스 한 값을 변수안에 넣어주었다. 하지만 이걸로는 부족하니 조건을 걸어 주었다.
M -= 45
만약 10-45 라면 -35가 될 것이다. 그러면 -1 시간이 되어야 하니 H -= 1을 해준다.
M 같은 경우는 -35분 + 60분 을 해주면 원하는 시간이 나올 것이다.
if M < 0:
H -= 1
M += 60
예제 입력 중에는 입력값이 0시 30분이 있는데 -45분을 해주면, -1시가 되어버릴 것이다.
따라서 H가 0보다 작다면 23, 또는 M과 똑같은 방식으로 24를 더해주고 print 해주면 정답이다.
if H < 0:
H += 24
print(H, 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