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러닝 프로젝트 마지막 날(젤리 시연 영상)
오늘로 머신러닝 프로젝트가 끝났다
오전에는 팀별 프로젝트 발표를 들었고 오후에는 회고와 readme 작성, 장고 특강을 들었다
오늘의 티스토리에는 처음으로 readme에서 사용한 마크업과
저녁에 들은 장고 특강 요약 정리를 해보자
Today
- 팀별 프로젝트 발표
- 팀별 회고, readme 작성
- 장고 특강
readme
오늘은 처음으로 마크 다운을 사용해 jellymody github에 readme 작성을 했다
마크 다운을 처음 사용해 사용법을 남겨보자
# 을 사용해 글에 h1과 같은 효과를 주었고 ###을 사용해 h3효과를 주었다
<br/><br/>을 사용해서 엔터 효과를 주었다
*[글자]* 글자를 별 두개로 감싸며 수평선 효과를 주었다
# Jellymodi_team
### [머신러닝 사물인식 프로젝트 내용]<br/><br/><br/><br/>
*What I Did?*
*[글자] 처럼 글자 앞에 *을 주어 글머리를 만들어 주었고 tap버튼을 누르고 *을 주면 글자가
tap한 버튼 안으로 들어가 목록이 만들어 진다
* 목적 : backend 실력 향상 ( HTML, JavaScript, Ajax, Python, Flask, MongoDB )
* 1차 목표 : 인스타 페이지 기본기능 구현
*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아웃 기능 (JWT 사용)
* 메인페이지 게시물(CRUD), 게시물 활동
* 캠/사진을 통한 얼굴인식 → 머신러닝 사물인식 모델을 이용한 감정판별 → 해당 표정에 맞는 이모티콘 표시
마지막으로 이미지는  이렇게 작성해서 넣어주었다
* 와이어프레임

장고 특강
강의에 나온 점들을 요약해보자
- 플라스크와 장고의 차이점
플라스크
비유: 초가집
자유도가 높은 경량화된 프레임 워크이다
최소한의 것만 필수적인 것만 가지고 있다
장고
비유: 대궐
장고는 많은 기능을 보유했다
웬만한 기능은 미리 준비했으니 몸만 가면 되는 프레임워크
- 장고 용어
- orm: 유저 객체와(오브젝) 관계와() 연결을(맵핑) 해주는 개념
파이썬 문법으로 편하게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이다
테이블의 모든 객체를 뽑아올 수 있다 - mtv패턴: 구분된 부분의 내용이 독립, 서로 간섭 주지 않게 설계하는것